소스트리로 git 저장소 저장하기
안녕하세요.
고코더 입니다.
소스트리로 깃을 사용할때 가장 편안 작업은
저장소를 가져오는 것 입니다.
커맨드로 칠때보다 훨씬 빠르고 실수 없이
가져 올 수 있습니다.
저장소를 동기화 해야 소스트리로
형상관리를 할 수 있으니 제일 처음 해야 할 일이기도 하겠네요.
● 1. 소스트리에서 Clone을 누르면
아래처럼 clone ui의 모습이 등장 합니다.
● 2. 그럼 나의 레파지토리에서 주소를 가져오겠습니다.
비어있는 저장소에서는 아래 주소를 확인하면 되고
● 3. 이미 파일이 존재하는 저장소는 Clone or download를
클릭해서 주소를 가져옵니다.
● 4. 해당 주소를 맨위에 입력하면
Git 저장소일 경우 아래에 텍스트 박스에 자동으로
해당 데이터가 입력 됩니다.
● 5. 두번째 박스는 파일을 어디에 저장하는지
선택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.
● 6. 세번째 박스는 내가 관리할 이름입니다.
● 7. 해당 사항을 완료하면 아래처럼
로컬 저장소에 아까 불러온 레파지토리가 노출 됩니다.
역시 UI의 힘이네요
순식간에 저장소를 Clone 했습니다.
마무리
이제 개발 소스를 하드디스크 말고
깃에서 관리하세요
'IT_Developers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Hub - 웹에서 소스 파일 만들기, 수정, 삭제 (0) | 2019.06.17 |
---|---|
GitHub - 소스트리(SourceTree) / 파일 업로드 방법 (2) | 2019.06.14 |
GitHub - 소스트리(SourceTree) / 계정 추가 (0) | 2019.05.24 |
GitHub - 소스트리(SourceTree) 설치 / 다운로드 / 첨부파일 (2) | 2019.05.24 |
GitHub - 새로운 레파지토리 만들기 / new repository (0) | 2019.05.23 |
댓글